본문 바로가기

지원금 정보

에너지 캐시백 신청대상 및 신청방법

반응형

한국전력이 여름철 전기요금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에너지캐시백을 현금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2023년 7월분 전기사용에 대한 절감량부터 지급할 예정입니다. 이미 지난해 시범사업을 통한 에너지 절감효과로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에너지캐시백을 대폭 증액 지급하기로 했는데요. 온라인 신청만 가능하여 혼잡할 것을 우려해 6월 7일부터 미리 접수를 받습니다. 

 

에너지캐시백신청바로가기
에너지캐시백신청바로가기

 

전기세가 많이 오르면서 가정 뿐만 아니라 자영업자 분들의 걱정이 많았는데 에너지캐시백을 통해 전기에너지 사용량을 줄여 현금으로 다시 돌려 받을 수 있으니 여름철 전기세 부담을 조금 덜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예를들어 전기사용량 427kwh을 사용할 경우 4인 가구의 전기 요금은 8만530원이며 작년 대비 1만 3천840원을 추가로 부담해야 합니다. 하지만 주택용 에너지캐시백에 가입하고 전기사용량을 10%줄일 경우, 캐시백과 전기사용량 절감에 따른 요금 감소액을 포함하면 1만5천80원의 요금 절감이 가능합니다. 캐시백 최대 지급한도인 30%까지 사용량을 줄인다면 4만 8천 760원까지 절감할 수 있습니다.

 

▶주택용 에너지캐시백 가입 바로가기

 

1. 에너지 캐시백 신청

7월부터는 다음 달 전기요금에서 차감하는 방식으로 기존에 지급하던 기본 30kwh(1kwh당 30원)에서 최대 70/kwh까지 추가 지급합니다.

 

 

1) 가입대상

전국 모든 실거주 세대(전기사용계약자 본인 또는 전입신고한 실거주자)

*아파트의 경우 관리사무소 해당

[개별세대] 에너지캐시백 신청 안내 매뉴얼.pdf
1.56MB
[공동주택 관리주체] 에너지캐시백 신청 안내 매뉴얼.pdf
1.13MB

 

2) 신청방법

7월 분에 한해서 미리 접수를 받습니다. 8월 31일까지 신청 및 소급 적용이 가능합니다.

 

 

2023년 6월 7일부터 온라인 신청만 가능

 

▶에너지캐시백 온라인 신청 바로가기

 

2. 에너지 캐시백  지급 방식

에너지 캐시백 되는 금액은 현금 지급 또는 전기요금, 관리비 등으로 납부 처리할 수 있습니다. 캐시백 지급액은 절감량 기준 구간별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일반 가정과 아파트의 적용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 일반가정 : 절감량(kwh) x 30원

- 아파트 : 단지 내 캐시백을 지원받은 절감량을 제외하고, 절감량 구간별 정액 지급합니다.

예) 절감량 100kwh 현금 3,000원 지급

 

절감량(kwh) 금액(천원)
~ 10 이하 200원
~ 30 이하 600원
~ 50 이하 1,200원
~ 90 이하 1,800원
~ 110 이하 2,400원
~130 이하 3,000원
130 초과 3,800원

* 최소 절감률 3% 달성해야 하며, 캐시백 최대 지급한도인 30%에 해당하는 절감량까지만 지급됩니다.

 

하루1kwh줄이기실천요령안내
하루1kwh줄이기실천요령안내

 

에너지 바우처 잔액조회 및 신청 방법